
이 곡은 1971년에 미국 가수 해리 닐슨이 불러서 큰 인기를 끌었죠. 해리 닐슨은 이 노래로 1972년 봄에 미국 빌보드 인기 순위 정상에 4주 동안이나 머물렀고요. 1973년에는 권위 있는 음악상인 그래미상 팝 부문 남자가수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가사해석 1절) No, I can't forget this evening아니, 나는 오늘밤을 잊을 수 없어요 Or your face as you were leaving떠날 때의 당신 표정도But I guess that's just the way the story goes결국 이렇게 끝나는 건가 보네요 That’s the way the story goes. 직역하면 얘기는 그런 식으로 흘러갑니다, 이런 뜻인데요. 결국 이렇게 되는 거다라는 ..

이번엔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의 노래 I Will Always Love You 언제까지나 당신을 사랑할 거예요란 노래입니다. 팝의 여왕이라고 불리던 미국의 흑인 가수 휘트니 휴스턴은 2012년에 숨졌습니다. 신경안정제를 지나치게 많이 복용해서 사망했을 거란 주장이 유력한데요. 풍부한 감정 표현과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았던 휘트니 휴스턴. 이제 그 아름다운 목소리를 다시 듣지 못하게 됐다니 안타깝습니다. 가사해석 If I should stay,만약 내가 머무른다면 I would only be in your way.당신 앞 길에 방해만 될 거예요in somebody’s way는 ~의 길을 막는, ~를 방해하는이란 뜻. So I'll go, but..

캐나다 가수 셀린 디온(Celine Dion)은 전 세계인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입니다. 셀린 디온 하면 아무래도 영화 타이타닉의 주제가를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영화 타이타닉의 주제가인 My Heart Will Go On은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주제가 가운데 하나라고 합니다. 가사 해석(1절) Every night in my dreams매일 밤 난 꿈속에서I see you, I feel you당신을 보죠. 당신을 느끼죠.That is how I know you go on그렇게 해서 난 당신의 마음이 그대로라는 걸 알죠. go on은 계속하다, 나아가다란 뜻, 여기서는 변함없이 날 사랑한다는 의미.Far across the distance멀고 먼 거리And spaces between ..

노르웨이의 아하(A-ha)란 그룹이 1985년에 발표한 곡 Take on Me, 날 받아주세요란 제목의 노래입니다. 가사해석 (1절) Talking away계속 얘기하면서 시간을 보내죠talk away는 얘기하면서 시간을 보내다, 오랜 시간 얘기를 계속하다란 뜻입니다. I don't know what모르겠어요I'm to say, I'll say it anyway내가 무슨 말을 하려는 건지, 그래도 말하겠어요앞 소절과 연결해서 이 문장은 I don’t know what I’m going to say. 와 같습니다. Today's another day to find you오늘은 당신을 찾아야할 또 다른 날이죠 Shying away날 피하는 I'll be coming for your love,..

1970년대 큰 인기를 누렸던 미국의 4인조 밴드 Eagles는 1980년에 해체됐다가 1994년에 다시 모였는데요. 이글스 하면 Hotel California (호텔 캘리포니아)가 떠오르죠. 이 노래는 이글스의 대표곡 중에 가장 인기가 좋습니다. 가사 해석 (1절) On a dark desert highway, cool wind in my hair어두운 사막의 고속도로, 차가운 바람이 내 머리카락을 휘감네 Warm smell of colitas, rising up through the air아련한 대마초 냄새가 공기 중에 피어오르고colitas는 스페인어로 작은 꽃봉오리를 뜻합니다. 여기서는 대마초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970년대 히피족들은 마약에 탐닉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며칠 전에는 한강이라는 한국의 여류 소설가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날입니다. 굉장히 놀랐던 하루였었고 노벨상을 못 탔어도 최선을 다하는 모든 이들은 각 분야에서 챔피언입니다. We Are the Champions은 영국의 4인조 퀸(Queen)의 노래인데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운동 경기가 열릴 때 아주 많이 나오는 곡입니다. 1994년에는 월드컵 공식 주제가로 지정되기도 했는데요. 가사해석 (1절) I've paid my dues난 어려움을 견뎠어요 pay dues는 원래 회비를 내다란 뜻이죠.pay dues는 어떤 걸 성취하기 위해서 어려움을 견디다, 힘든 일을 해내다란 의미로 많이 씁니다.time after time 계속해서 말이죠I've done my sentence난 ..

9시부터 5시까지는 직장인들의 하루 근무시간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 9 to 5 란 제목의 노래가 있습니다. 1980년에 나온 같은 제목의 영화 주제가인데요. 영화배우이자 가수인 돌리 파튼(Dolly Parton)이 불렀습니다. 가사 해석 (1절) Tumble outta bed and I stumble to the kitchen침대에서 굴러 나와 비틀거리며 부엌으로 가죠 tumble out of ~에서 굴러 나오다, 굴러 떨어지다는 말입니다.예문 Don’t let the baby tumble out of the chair. 아이가 의자에서 굴러 떨어지지 않게 하세요. Pour myself a cup of ambition의욕을 재충전하고a cup of ambition 야심 한 잔,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Creedence Clearwater Revival)이란 그룹, 약칭으로 CCR이라고 부르는 그들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결성된 4인조 그룹인데요. 처음에는 다른 이름으로 활동하가다 나중에 그룹 이름을 CCR로 바꿨습니다. 존 포거티(John Fogerty)가 기타 연주와 노래, 작사, 작곡을 담당하면서 그룹의 얼굴 역할을 했고요. 존 포거티의 형인 톰 포거티(Tom Fogerty), 그리고 존의 고등학교 동창들인 스튜 쿡(Stu Cook), 덕 클리포드(Doug Clifford), 이렇게 네 사람으로 구성된 그룹이었죠. 1968년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동안 Suzie Q, Born on the Bayou 등을 발표하면서 전성기를 누렸지만, 멤버들 간의 불화로 ..

미국 서부 하면 석양을 등지고 선 황야의 무법자, 외로워 보이는 사나이의 모습이 떠오릅니다.무법자를 의미하는 영어 표현 가운데 desperado란 말이 있는데 Desperado는 미국 그룹 이글스의 노래 제목이기도 합니다. 유튜브에서 음원을 틀어 놓고 같이 음미하면서 보면 리스닝에 도움이 됩니다. 가사 해석 Desperado, why don't you come to your senses?무법자여, 왜 정신 차리지 않나요?*desperado는 desperate, 그러니까 자포자기의, 무모한, 목숨 아까운 줄 모르는이란 뜻의 영어 단어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무법자를 뜻하는 다른 단어로는 outlaw가 있습니다.*come to one’s senses, 정신 차리다, 제 정신으로 돌..

한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팝송 투표에서 늘 1, 2위를 다투는 노래입니다. 오늘은 비틀스의 노래 Let It Be입니다. 이 노래가 공개된 건 1970년 3월의 일인데요. 이 노래를 발표하고 얼마 안 돼서, 해체됐었죠. 멤버들끼리 갈등을 겪던 어려운 시기에 쓰인 노래지만, 결국에는 다 잘될 거라고 위로하는 희망적인 분위기의 노래였습니다. 가사해석 1절) When I find myself in times of trouble내가 어려움에 처해 있으면(find myself, find oneself 이 말은 알고 보니 어떤 상태에 있다란 뜻이죠. I found myself caught in a trap. 하면 알고 보니 함정에 빠져 있었습니다란 뜻입니다)Mother Mary comes t..